이스라엘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6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성경 및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그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후기 청동기 시대 가나안 지역에 정착한 고대 셈족에서 기원하며, 야훼 신앙을 중심으로 다른 가나안 민족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형성했다. 철기 시대를 거치며 사울, 다윗, 솔로몬 시기에 통일 왕국을 이루었으나, 솔로몬 사후 왕국의 분열로 북이스라엘 왕국과 남유다 왕국으로 나뉘었다. 북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했고, 남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에 멸망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이스라엘 왕국의 존재와 시기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성경은 이스라엘 왕국의 건국과 왕들의 통치, 왕국 분열의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왕국 - 사무엘기
사무엘기는 원래 한 권이었으나 칠십인역에서 두 권으로 나뉘었고, 사무엘, 사울, 다윗 등 주요 인물을 통해 이스라엘 왕정의 시작과 하나님의 주권 등을 다루는 역사적, 전설적 자료를 기반으로 한 책이다. - 유대인 정체 - 유대인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는 1934년 소련의 스탈린에 의해 유대인 인구에게 이디시 문화 계승을 위한 영토를 제공하기 위해 성립되었으나, 현재는 러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유대인 문화 부흥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러시아의 유일한 자치주이다. - 유대인 정체 - 하자르
하자르는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현재의 러시아 남부,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서부에 걸쳐 튀르크계 유목민족인 하자르족이 세운 카간국으로, 지배층의 유대교 개종과 키예프 루스의 침공, 아슈케나지 유대인 기원 논쟁과 관련되어 있다. - 부족연맹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부족연맹 - 진국
진국은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이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추정되지만, 실존 여부, 위치, 규모에 대한 학계 논쟁이 있으며, 사서 기록에 따라 위만조선에 복속된 국가로, 또는 삼한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이스라엘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이스라엘 왕국 |
현지 명칭 | obm |
일반 명칭 | 이스라엘 왕국 |
시대 | 철기 시대 |
정치 체제 | 세습 신정 절대 군주제 |
공용어 | 히브리어, 아람어 |
종교 | 고대 셈족 종교, 야훼이즘 |
건국 | 사울의 즉위 |
건국 시기 | 기원전 1047년경 |
멸망 | 여로보암의 반란 |
멸망 시기 | 기원전 930년 |
수도 | 기브아 (기원전 1047년경-기원전 1010년경) 마하나임 (기원전 1010년경-기원전 1008년경) 헤브론 (기원전 1008년경-기원전 1003년경) 예루살렘 (기원전 1003년경-기원전 930년경) 세겜 (기원전 930년경) 브누엘 (기원전 930년경-기원전 909년경) 티르차 (기원전 909년경-기원전 880년경) 사마리아 (기원전 880년경-기원전 722년) |
지도자 칭호 | 왕 |
국가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웨스트뱅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
화폐 | (정보 없음) |
시간대 | (정보 없음) |
여름 시간 | (정보 없음) |
시간대 추가 정보 | (정보 없음) |
ccTLD | (정보 없음) |
ccTLD 추가 정보 | (정보 없음) |
국제 전화 번호 | (정보 없음) |
국제 전화 번호 추가 정보 | (정보 없음) |
국가 변천사 | |
선대 국가 | 이스라엘 12지파 |
후대 국가 | 이스라엘 왕국 유다 왕국 |
통치자 | |
초대 왕 | 사울 |
통치 기간 | 기원전 1047년–기원전 1010년 |
왕 | 이쉬보셋 |
통치 기간 | 기원전 1010년–기원전 1008년 |
왕 | 다윗 |
통치 기간 | 기원전 1008년–기원전 970년 |
왕 | 솔로몬 |
통치 기간 | 기원전 970년–기원전 931년 |
왕 | 르호보암 |
통치 기간 | 기원전 931년–기원전 930년 |
기타 | |
![]() | |
면적 | |
면적 | 약 34,000 |
인구 | |
인구 | (정보 없음) |
2.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550 ~ 1150)
이집트 신왕국이 가나안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바다 민족의 침입 등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로 이집트의 지배권은 완전히 무너지고 가나안은 혼란에 빠졌다.[97][98] 하솔, 벧스안, 므깃도, 에크론, 아쉬돗 및 아스글론은 큰 타격을 입었다.[99]
이스라엘인들은 혼인 금지, 가족사 및 계보, 종교 등을 통해 이웃과 차별화된 정체성을 형성했다.[108]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고지대에 약 25개의 마을이 있었지만, 철기 시대 I 말에는 300개 이상으로 증가했고 정착 인구는 20,000명에서 40,000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108] 마을은 북쪽에 더 많고 더 컸으며, 아마도 유적을 남기지 않은 목가적 유목민과 고원을 공유했을 것이다.[108]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이집트 비문인 메르넵타 비문에 처음으로 등장한다.[100] 이들은 이 지역에서 태어난 고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01] 초기 이스라엘인들은 야훼를 중심으로 하는 독특한 단일 숭배(후에는 일신교) 종교를 통해 다른 가나안 민족들과 분리되는 정체성을 갖기 시작했다.[102][103][104] 이들은 이후 성서 히브리어로 알려진 히브리어의 고대 형태를 사용했다.[105]
기원전 1200년경 무렵, 기후 변화와 사회 변화로 인해 고원 지대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도시인들에게서 곡물을 사먹던 유목민들이 도시들이 쇠락하자 곡물을 자체적으로 생산해야 해서 정착 생활로 바꾸어 정착하게 된 것이 이스라엘의 시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6] 유목민이 주류였지만, 가나안의 도시 왕국들에서 이탈한 사회 하층민 계층("하비루 / 아피루") 역시 초기 이스라엘의 일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이 메르넵타 비문에 등장한 시기인 기원전 1200년경과 비슷한 시기부터 블레셋 사람들은 남쪽 해안 평야에 정착했다.[107]
3. 철기 시대 I (기원전 1150 ~ 950년)
초기 이스라엘인들을 구분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113]
이스라엘 핀켈슈타인(Israel Finkelstein)은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타원형 또는 원형 주거터와 돼지뼈가 발굴되지 않는 것을 인종의 표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것이 고지 생활에 대한 상식적인 적응이므로 반드시 이스라엘 유적을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하였다.[111]
광범위한 고고학적 발굴은 초기 철기 시대 동안 이스라엘 사회의 모습을 제공했다. 고고학적 증거는 마을과 같은 사회를 나타내지만 자원이 더 제한적이고 인구가 적었다. 이 기간 동안 이스라엘인들은 주로 작은 마을에 살았는데, 그 중 가장 큰 마을은 인구가 300~400명 정도였다.[108] 그들의 집은 공동 뜰 주위에 무리지어 지어졌고, 돌 기초와 때로는 나무로 만든 2층이 있는 흙벽돌로 방이 서너 개 있는 집을 지었다. 주민들은 농사와 목축업을 하며 살았고, 산비탈에 테라스를 만들어 농사를 짓고 다양한 작물을 심고 과수원을 유지했다. 마을은 대체로 경제적으로 자급자족했고 경제적 교류가 만연했다. 작은 마을은 성벽이 없었지만 그 지역의 주요 도시의 주체였을 가능성이 높다. 기록 및 문자의 사용은 작은 사이트/지역에도 보급되었고 기록이 가능해졌다.[108]
4. 철기 시대 II (기원전 950–587년)
이스라엘 핀켈슈타인에 따르면, 기원전 10세기에 기브온-기브아 고원을 기반으로 사울 왕조로 추정될 만한 정치 세력이 급작스럽게 형성되었으나, 성서의 시삭인 쇼솅크 1세에 의해 파괴된 후 작은 도시 국가들로 분열되어 회귀하였다고 한다[115]. 그러나 기원전 950년에서 900년 사이에 여로보암 왕조로 추정될 만한 또 다른 정치 세력이 북부 고지대에서 나타나 결국 이스라엘 왕국의 전신으로 간주될 수 있는 디르사를 수도로 삼았다[116]. 이스라엘 왕국은 중요한 지역 강국으로 통합되었다. 유다 왕국은 기원전 9세기 후반에 번성하기 시작했다.
오랫동안 헤브라이 여러 부족을 통솔했던 선출된 지도자인 사사를 대신하여, 최초의 세습 왕으로 사울(Šāʾūl|샤울he)이 즉위했다. 사울은 12부족 중에서 선택되었지만, 왕이라고 해도 아직 권력이 집중되어 있지 않았고, 여러 부족장들의 세력은 여전히 강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5. 통일 이스라엘 왕국 (기원전 10세기)
성경에 따르면 판관 사무엘에 의해서 사울이 이스라엘 민족의 첫 왕이 되어 통일 왕국을 세웠다. 사울은 치세 초기에 외적들을 격파했지만 아말렉의 왕 아각의 처분을 놓고 사무엘과 불화를 일으켰고, 사무엘은 사울 몰래 베들레헴에서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주며 새 왕으로 세웠다. 백성들의 신망이 다윗에게 향하자 사울은 다윗을 죽이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사울은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아들 요나단과 함께 사망하였다. 약 2년간 사울의 아들인 이스보셋과 다윗이 권력 투쟁을 벌인 끝에 다윗이 왕위에 올랐다.[65]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이스라엘은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솔로몬의 사치와 종교적 관용 정책은 백성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솔로몬의 긴 통치는 경제적 번영과 국제적 명성을 가져다주었지만, 통일 왕국이라는 지배 체제는 일반 백성의 불만으로 인해 흔들리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솔로몬의 야심찬 사업 때문에 과중한 세금과 부역에 시달렸고, 솔로몬이 자신의 출신 부족을 우대했던 것도 다른 부족들의 분노를 사면서 군주 정치와 부족 분리주의자들 간의 갈등이 점차 커졌다.
기원전 922년경 솔로몬이 죽자, 부족 간의 통제력을 상실한 통일 이스라엘 왕국은 북왕국과 남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열왕기』 11장에서는 "솔로몬이 이교의 신을 숭배하게 되었으므로 주(야훼)로부터 버림받았다"고 서술하고 있지만,[86] 12장에서는 예언자나 성직자가 아닌 일반 백성들은 솔로몬의 과중한 세금과 고역을 완화하지 않은 후계왕 르호보암에게 분노하여 그를 버렸다고 설명한다.[87] 즉, 왕국 내부에 존재하던 모순이 솔로몬의 죽음과 함께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남북 두 나라로 분열하게 된 것이다.
5. 1. 다윗 왕 시대
다윗은 군사 원정에서 성공을 거두고, 이웃 왕국들과 우호 동맹을 맺어 이스라엘을 그 지역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다윗의 권력은 이집트와 홍해의 경계에서 유프라테스 강변까지 미쳤다. 즉, 북쪽으로는 다마스쿠스에서 남쪽으로는 아카바 만에 이르는 지역을 확보하고, 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아 이스라엘 왕국의 기반을 마련했다.[65][66]국내적으로도 다윗은 이스라엘을 구성하는 12지파를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하고, 예루살렘과 군주 정치를 민족의 중심으로 삼는 새로운 통치를 시작했다. 성경의 전승에 따르면 다윗은 시와 음악 등 정치 외에도 다양한 재능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67]
당시 국제 정세는 기원전 1200년의 격변의 영향으로 히타이트가 멸망하고, 이집트[82], 앗시리아[83], 바빌로니아[84]가 모두 쇠퇴기를 맞았다. 이러한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역사적 시리아(레반트) 지역에는 강대국들의 동시 쇠퇴로 인해 권력의 공백 지대가 생겨났기 때문에, 강대국의 간섭을 받지 않고 많은 아람 사람 등의 소국들이 탄생했다.[85] 이스라엘 왕국도 그러한 상황에서 탄생한 신흥국 중 하나이다.
5. 2. 솔로몬 왕 시대
솔로몬(히브리어: Šəlōmōh, 솔로몬)은 아버지 다윗이 건설한 나라를 계승하여 그 왕국을 더욱 강대하게 만들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주변 왕국들과 조약을 맺고 정략결혼을 거듭하여 자국을 강국으로 키웠다. 특히 이집트 왕의 딸과 결혼하여 이집트와 좋은 관계를 쌓았다.[69]솔로몬은 외국과의 교역을 확대하고 구리 채굴과 금속 제련 등 큰 사업을 추진하여 국가 경제를 발전시켰으며, 관료 제도를 확립하여 국내 제도를 정비했다. 또한 대규모 토목 공사로 국내 여러 도시를 강화했다. 페니키아의 기술을 도입하여 예루살렘에 솔로몬 성전을 건립하여 유대인의 민족 생활, 종교, 삶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구약 성경의 『잠언』과 『아가』는 한때 솔로몬의 작품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말년에 유대교 이외의 신앙을 허용하면서 유대교도와 다른 종교 신자 간의 종교적 대립이 발생했고, 이는 우상숭배라는 비판을 받으며 국가 분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69]
6. 왕국의 분열 (기원전 931년경)
기원전 926년경 솔로몬이 사망한 후, 이스라엘 왕국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섹엠, 사마리아 포함)과 남쪽의 유다 왕국(예루살렘 포함)으로 분열되었다.[71]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북부 지파의 경제적 불만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자, 기원전 930년경 왕국이 분열되었다.[71]
분열 직후 르호보암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유다와 베냐민에서 병사를 소집하려 했으나, 시마야의 권고로 북쪽 원정을 중단했다. 학자들은 르호보암이 처음에는 이스라엘이 별개 세력이 된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한다.[89]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최대 영토는 지중해 연안의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을 제외하면 약 34000km2였으며, 그중 약 24000km2가 이스라엘의 10지파에 계승되었다. 최초의 수도는 시켐이었지만, 나중에 디르사를 거쳐 사마리아에 정착했다. 사마리아는 북왕국이 신아시리아 제국에 멸망할 때까지 수도로 남았다.
인구와 경작지 면적에서 이스라엘 왕국은 유다 왕국을 능가했고, 경제적으로도 우위에 있었지만, 여러 지파로 구성되어 불안정했고 쿠데타가 빈번했다. 옴리 왕조 시대에는 이스라엘과 유다가 동맹을 맺고 왕족 간의 혼인 관계도 있었지만, 다른 시기에는 기본적으로 대립했다.
또한, 분열 직후부터 아시리아의 맹위에 계속 노출되었다. 여로보암 2세 시대에 가장 번영했지만, 이후 쇠퇴했다. 예언자 아모스는 도덕성 저하를 비판했지만, 쇠퇴는 멈추지 않았다.
6. 1. 분열의 원인
솔로몬의 긴 통치는 경제적 번영과 국제적 명성을 가져다주었지만, 통일 왕국이라는 지배 체제는 일반 백성의 불만으로 인해 흔들리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솔로몬의 야심찬 사업 때문에 과중한 세금과 부역에 시달렸던 것이다.[87] 또한 솔로몬이 자신의 출신 부족을 우대했던 것도 다른 부족들의 분노를 사면서, 군주 정치와 부족 분리주의자들 간의 갈등이 점차 커졌다.기원전 922년경 솔로몬이 죽자, 부족 간의 통제력을 상실한 통일 이스라엘 왕국은 북왕국으로 알려진 이스라엘 왕국과 남왕국으로 알려진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이스라엘이 분열된 원인에 대해, 『열왕기』 11장에서는 "솔로몬이 이교의 신을 숭배하게 되었으므로 주(야훼)로부터 버림받았다"고 서술하고 있지만[86], 예언자나 성직자가 아닌 일반 백성들은 솔로몬의 과중한 세금과 고역을 완화하지 않은 후계왕 르호보암에게 분노하여 버렸다는 설명이 12장에 이어진다.[87] 즉, 왕국 내부에 존재하던 모순이 솔로몬의 죽음과 함께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남북 두 나라로 분열하게 된 것이다.
예언자 아히야는 솔로몬 사후 왕국의 분열을 예언했다. 왕위 계승 다툼 속에서 위험을 느껴 애굽으로 도망쳤던 여로보암은 이스라엘 왕국 내 불만 세력에 의해 이스라엘로 돌아왔다.
여로보암과 각 지파 대표들은 솔로몬의 후계자 르호보암을 알현하여 중과세와 잡역의 경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여러 지파가 르호보암에게 반기를 들었다. 저항을 받은 르호보암은 예루살렘으로 도망쳤고, 여러 지파의 지지를 받은 여로보암은 이스라엘의 새로운 왕 여로보암 1세로서 섹엠에서 왕위에 올랐다. 이것이 북왕국(이스라엘 왕국)이다.
열두 지파 중 열 지파가 여로보암을 지지했고, 르호보암 밑에 남은 것은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뿐이었다. 르호보암으로부터 남왕국(유다 왕국)이 시작된다.
6. 2. 분열 이후
솔로몬이 기원전 926년경 사망한 후, 이스라엘 왕국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섹엠과 사마리아 포함)과 남쪽의 유다 왕국(예루살렘 포함)으로 분열되었다.[71]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북부 지파의 경제적 불만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자, 기원전 930년경 왕국이 분열되었다.[71]
솔로몬의 통치 기간 동안 백성들은 과중한 세금과 부역에 시달렸고, 솔로몬이 자신의 부족을 우대하면서 다른 부족들의 불만이 커졌다. 기원전 922년경 솔로몬이 죽자 통일 이스라엘 왕국은 분열되었다. 『열왕기』 11장에서는 솔로몬이 이교 신을 숭배하여 야훼로부터 버림받았다고 묘사하지만,[86] 12장에서는 백성들이 르호보암에게 분노하여 왕국이 분열되었다고 설명한다.[87]
예언자 아히야는 왕국 분열을 예언했고, 여로보암은 이스라엘로 돌아와 르호보암에게 중과세와 잡역 경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에 여러 지파가 반기를 들었고, 여로보암은 섹엠에서 이스라엘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를 제외한 열 지파가 여로보암을 지지했고, 르호보암은 유다 왕국을 시작했다. 두 왕국은 60년 동안 싸웠고, 여호사밧이 아합의 딸 아달랴와 결혼하면서 동맹이 성립되었지만, 예후의 쿠데타로 아합 왕가는 멸망했다.
분열 직후 르호보암은 반란 진압을 위해 병사를 소집하려 했으나, 시마야의 권고로 중단했다. 학자들은 르호보암이 처음에는 이스라엘이 별개 세력이 된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한다.[89]
이스라엘 왕국은 유다 왕국보다 인구와 경작지 면적에서 우위에 있었지만, 여러 지파로 구성되어 불안정했고 쿠데타가 빈번했다. 옴리 왕조 시대에는 동맹을 맺기도 했지만, 다른 시기에는 대립했다.
이스라엘 왕국은 아시리아에 계속 노출되었다. 여로보암 2세 시대에 번영했지만, 이후 쇠퇴했다. 예언자 아모스는 도덕성 저하를 비판했지만, 쇠퇴는 멈추지 않았다.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 신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독립 국가로 존재했다.[72]
7. 북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기원전 722년)
북이스라엘 왕국은 아시리아의 계속된 침략에 시달렸다. 여로보암 2세 시대에 가장 번영했지만, 이후 쇠퇴의 길을 걸었다. 예언자 아모스는 도덕성 저하를 비판했지만, 쇠퇴는 멈추지 않았다. 말기에는 왕이 신하에게 살해당하고, 살해한 신하가 왕위에 오르는 하극상이 반복되는 등 정치적 불안이 극심했다.
결국 사마리아는 아시리아 왕 살마네셀 5세의 포위 공격을 받았고, 산헤립의 맹공격에 의해 기원전 722년에 함락되었다. 이로써 19대 왕 아래 253년 동안 존속했던 북왕국은 멸망했다.[89]
지도층 백성들은 포로로 끌려가거나 중동 전역에 흩어졌다. 이들은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라고도 불리지만, 10지파 모두가 끌려간 것은 아니었다.[89]
북왕국 멸망 후, 아시리아의 식민 정책에 따라 사마리아 지역에는 많은 비유대인들이 이주해 왔다. 사마리아에는 포로가 되지 않은 10지파 백성들이 남아 있었지만, 지도층을 잃고 이민족과의 혼혈이 진행되면서 10지파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했다. 이후 사마리아는 정통파 유대인들로부터 이민족과 혼혈된 땅으로 경멸받게 되었다.[89]
8. 고고학
이스라엘 핀켈슈타인이 제시한 '저연대Low Chronology' 이론은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유물, 유적 연대를 기원전 9세기로 비정한다.[117][118] 이 이론에 따르면, 다윗 왕은 기원전 10세기~9세기에 유다 소규모 부족의 족장 수준이었으며, 북이스라엘 왕국과는 무관하다.[119][120][121][122]
그러나 모든 고고학자들이 이 주장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123][124][125] 아미하이 마자르 교수는 예루살렘과 키르벳 케이야파 발굴 조사를 통해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존재를 인정하며,[126] 수정 연대 이론을 제시했다.[127]
유다의 철기 시대 유적지인 키르벳 케이야파 발굴 결과, 기원전 10세기에 도시화된 왕국이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고고학청은 "키르벳 케이야파 발굴은 기원전 11세기 후반에 이미 유다에 도시 사회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고 발표했다.[39]
9. 성경 기록
성경에 따르면 사무엘이 사울을 이스라엘 민족의 왕으로 세웠다.[20] 사울은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사무엘과의 불화로 다윗이 새로운 왕으로 세워졌다. 사울은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아들들과 함께 사망했고, 이후 다윗이 왕위에 올랐다. 다윗의 아들 솔로몬까지 왕위가 이어졌으나, 르호보암 때 북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86][87]
주류 출처 비평에서는 현재의 사무엘 상하가 여러 대조적인 출처들을 짜깁기한 것으로 본다.[20] 친(親)왕정 출처와 반(反)왕정 출처가 그것이다. 학자들은 사무엘 상하가 시대착오적인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당대 기록이 아니라, 기원전 8세기에 역사적, 전설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편찬되었다고 본다.[55][56]
솔로몬 통치기는 경제적 번영과 국제적 명성을 가져왔지만, 과중한 세금과 부역으로 백성의 불만이 커졌다. 솔로몬의 부족 우대 정책은 군주 정치와 부족 분리주의자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기원전 922년경 솔로몬 사후, 통일 이스라엘 왕국은 북왕국(이스라엘 왕국)과 남왕국(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열왕기에서는 솔로몬의 이교 신 숭배를 분열 원인으로 언급하지만,[86] 백성들은 솔로몬의 과중한 세금과 고역을 완화하지 않은 르호보암에게 분노했다는 설명이 이어진다.[87]
9. 1. 국왕 목록
왕 이름 | 통치 기간 | 관련 성경 구절 | |
---|---|---|---|
사울 왕조 | |||
사울 | 20년 또는 40년 | 기원전 1030년경~기원전 1010년경 | 사무엘상 11:15 |
이스보셋 | 7.5년 | 기원전 1010년~기원전 1008년 | 사무엘하 2 |
다윗 왕조 | |||
다윗 | 40년 | 기원전 1010년경~기원전 970년경 | 사무엘하 5:1; 역대상 11:1 |
솔로몬 | 40년 | 기원전 970년경~기원전 931년경 | 열왕기상 2:12; 역대상 29:28 |
르호보암 | 기원전 922년 |
참조
[1]
서적
Writing and Literacy in the World of Ancient Israel: Epigraphic Evidence from the Iron Age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
서적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Méšaʿ
http://en.wikisource[...]
[2]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Ezekiel 8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3]
웹사이트
1 Kings 11:5 Solomon followed Ashtoreth the goddess of the Sidonians and Molech the abomination of the Ammonites
https://biblehub.com[...]
[4]
웹사이트
2 Kings 23:13 The King also desecrated the high places east of Jerusalem, to the south of the Mount of Corruption, which King Solomon of Israel had built for Ashtoreth the abomination of the Sidonians, for Chemosh the abomination of the Moabites, and for Molech the abomination of the Ammonites
https://biblehub.com[...]
[5]
웹사이트
Jeremiah 11:13 Your gods are indeed as numerous as your cities, O Judah, and the altars of shame you have set up—the altars to burn incense to Baal—are as many as the streets of Jerusalem
https://biblehub.com[...]
[6]
학술지
Early Monarchy in Israel
https://www.academia[...]
Institute for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Science
1989-01-01
[7]
서적
Beyond the Texts: An Archaeological Portrait of Ancient Israel and Judah
SBL Press
[8]
서적
The True Israel: Uses of the Names Jew, Hebrew, and Israel in Ancient Jewish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Publishers, Inc.
1996
[9]
서적
Ancient Israel: Its Life and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
[10]
간행물
Iron Age Chronology: A Reply to I. Finkelstein
[11]
간행물
The Debate over the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the Southern Levant
[12]
간행물
Chronology and United Monarchy: A Methodological Review
[13]
웹사이트
Journal 124: Khirbat Qeiyafa preliminary report
http://www.hadashot-[...]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2012-04-19
[14]
학술지
Khirbet Qeiyafa: an unsensational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http://archaeology.t[...]
2012-05-01
[15]
학술지
Archaeology and the Bibl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United Monarchy
https://www.academia[...]
[16]
학술지
Israelite and Judahite History in Contemporary Theoretical Approaches
[17]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its Storie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01
[19]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30 BC, Band 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웹사이트
David, King of Judah (not Israel)
http://www.bibleinte[...]
2014-07-01
[21]
학술지
The Study of the 10th Century BCE in the Early 21st Century CE: An Overview
https://jjar.huji.ac[...]
[22]
서적
Ancient Israel
[23]
학술지
Debating the United Monarchy: Let's See How Far We've Come
http://dx.doi.org/10[...]
2016-04-22
[24]
뉴스
Crying King David: Are the ruins found in Israel really his palace?
https://www.haaretz.[...]
[25]
서적
The Dawn of Israel: A History of Canaan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T&T Clark
[26]
학술지
Solomon, Scripture, and Science: The Rise of the Judahite State in the 10th Century BCE
[27]
서적
David and Solomon: In Search of the Bible's Sacred Kings and the Roots of the Western Tradition
https://archive.org/[...]
Free Press
[28]
간행물
The Archaeology of the United Monarchy: an Alternative View
[29]
간행물
The Date of the Settlement of the Philistines in Canaan
[30]
서적
David and Solomon: In Search of the Bible's Sacred Kings and the Roots of the Wester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7
[31]
서적
Canaanites
The British Museum Press
[32]
뉴스
Meet the Real King David, the One the Bible Didn't Want You to Know About
https://www.haaretz.[...]
2019-03-27
[33]
웹사이트
Divided Kingdom, United Critics
https://www.biblical[...]
2014-07-02
[34]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6-06-09
[35]
뉴스
King David's Palace Is Found, Archaeologist Says
https://www.nytimes.[...]
2005-08-05
[36]
웹사이트
Unique biblical discovery at City of David excavation site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08-18
[37]
웹사이트
Archaeologists Just Found the Biblical King David's Palace. Maybe
https://archive.toda[...]
Smithsonian Institution
2013-07-22
[38]
웹사이트
Did I Find King David's Palace?
https://www.biblical[...]
2017-05-12
[39]
웹사이트
Journal 124: Khirbat Qeiyafa preliminary report
https://web.archive.[...]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2012-04-19
[40]
논문
Khirbet Qeiyafa: an unsensational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http://archaeology.t[...]
2012-05
[41]
뉴스
Jerusalem city wall dates back to King Solomon
http://www.jpost.com[...]
2009-02-23
[42]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뉴스
Philistine city of Gath a lot more powerful than thought, archaeologists suggest
http://www.haaretz.c[...]
Haaretz Daily Newspaper Ltd.
2015-08-04
[44]
서적
Saul and Highlands of Benjamin Update: The Role of Jerusalem
https://books.google[...]
SBL Press
[45]
서적
Beyond the Texts: An Archaeological Portrait of Ancient Israel and Judah
SBL Press
[46]
서적
Has Archaeology Buried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08-18
[47]
논문
Archaeology and the Bible: Reflections on Historical Memory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https://www.academia[...]
[48]
논문
Archaeology and the Bibl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United Monarchy
https://www.academia[...]
[49]
논문
The "Governor's Residency" at Tel 'Eton, The United Monarchy, and the Impact of the Old-House Effect on Large-Scale Archaeological Reconstructions
[50]
웹사이트
Proof of King David? Not yet. But riveting site shores up roots of Israelite era
https://www.timesofi[...]
[51]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Israel: Debating Archaeology and the History of Early Israel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2007-10-24
[53]
서적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Sacred Text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2-03-06
[54]
서적
David and Solomon: In Search of the Bible's Sacred Kings and the Roots of the Wester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7-04-03
[55]
서적
1 – 2 Samu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Writing and Rewriting the Story of Solomon in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1-29
[57]
성경
1 Samuel 8:4 - 1 Samuel 8:5
https://en.wikisourc[...]
[58]
성경
1 Samuel 8:7
https://en.wikisourc[...]
[59]
성경
1 Samuel 10:1
https://en.wikisourc[...]
[60]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1 Samuel 31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61]
웹사이트
King Saul
https://web.archive.[...]
[62]
서적
The Sword of Goliath: David in Heroic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
[63]
웹사이트
2 Samuel 15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64]
웹사이트
2 Samuel 19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65]
웹사이트
2 Samuel 2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66]
서적
Judges (The Anchor Yale Bible Commentaries)
Doubleday
[67]
성경
2 Samuel 8:1–14
[68]
웹사이트
1 Kings 1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69]
웹사이트
1 Kings 7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70]
서적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Israel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7
[71]
웹사이트
1 Kings 12 NIV -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72]
위키
Siege of Jerusalem (587 BC)
[73]
서적
Ancient Israel
Pearson
[74]
서적
Who Wrote The Bible
https://archive.org/[...]
HarperOne
[75]
서적
The Book of J
Grove Press
[76]
간행물
How We Know When Solomon Ruled: Israel's Kings
BAR
2001-09-01
[77]
웹사이트
Israel's Kings and Prophets
https://www.thesacre[...]
[78]
저널
Iron Age Chronology: A Reply to I. Finkelstein
http://www.tandfonli[...]
1997-01-01
[79]
서적
The Debate over the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the Southern Levant: Its history, the current situation, and a suggested resolution
https://www.cambridg[...]
Acumen Publishing
2023-10-22
[80]
저널
Chronology and United Monarchy. A Methodological Review
https://www.jstor.or[...]
2004-01-01
[81]
저널
Archaeology and the Bibl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United Monarchy
https://www.academia[...]
2010-01-01
[82]
서적
古代エジプト地図で読む世界の歴史
河出書房新社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위키
列王記上(口語訳)#11:4-13, 列王記上(口語訳)#11:30-39
[87]
위키
列王記上(口語訳)#12:4-17
[88]
위키
列王記上(口語訳)#11:1-12
[89]
서적
古代ユダヤ戦争史 聖地における戦争の地理学研究
悠書館
[90]
서적
Writing and Literacy in the World of Ancient Israel: Epigraphic Evidence from the Iron Age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90]
서적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Méšaʿ
http://en.wikisource[...]
[91]
저널
Iron Age Chronology: A Reply to I. Finkelstein
[92]
저널
The Debate over the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the Southern Levant
[93]
저널
Chronology and United Monarchy: A Methodological Review
[94]
저널
Archaeology and the Bibl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United Monarchy
https://www.academia[...]
[95]
서적
Ancient Canaan and Israel: An Introduction
OUP
[96]
저널
The Meaning of Egyptian-Style Objects in the Late Bronze Cemeteries of Tell el-Farʿah (South)
[97]
서적
Beyond the Text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Press
[98]
저널
Archaeologic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Palestine: The Early Bronze Age: The rise and collapse of urbanism
[99]
저널
Crisis in Context: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100]
서적
Canaan and Israel in Antiquity: A Textbook on History and Religion
A&C Black
[10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02]
서적
The Early History of God: Yahweh and Other Deities of Ancient Israel
Eerdman's
[103]
서적
Israel without the Bible
NYU Press
[104]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Sheffield Academic Press Ltd
[105]
서적
Ancient Hebrew
Routledge
[106]
서적
The Emergence of Israel: A Phase in the Cyclic History of Canaan in the Third and Second Millennia BCE
Jerusalem
[107]
서적
Biblical Peoples and Ethnicity: An Archaeological Study of Egyptians, Canaanites, Philistines, and Early Israel, 1300-1100 B.C.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08]
서적
Reconstructing the Society of Ancient Israel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0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10]
서적
Biblical Peoples and Ethnicity: An Archaeological Study of Egyptians, Canaanites, and Early Israel, 1300–1100 B.C.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11]
서적
Ethnicity and Early Israel
Brill
[112]
서적
[113]
저널
How Did Israel Become a People? The Genesis of Israelite Identity
[114]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A&C Black
2016-06-02
[115]
서적
Saul and Highlands of Benjamin Update: The Role of Jerusalem
SBL Press
[116]
저널
First Israel, Core Israel, United (Northern) Israel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ASOR)
2020-03-22
[117]
저널
Israelite and Judahite History in Contemporary Theoretical Approaches
[118]
저널
Debating the United Monarchy: Let's See How Far We've Come
http://dx.doi.org/10[...]
2016-04-22
[119]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its Storie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21]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30 BC, Band 1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2]
웹인용
David, King of Judah (not Israel)
http://www.bibleinte[...]
2021-06-01
[123]
저널
Iron Age Chronology: A Reply to I. Finkelstein
[124]
저널
The Debate over the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the Southern Levant
[125]
저널
Chronology and United Monarchy: A Methodological Review
[126]
저널
Debating the United Monarchy: Let's See How Far We've Come
http://dx.doi.org/10[...]
2016-04-22
[127]
서적
Ancient Isra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